컨택저널  

컨택저널
AICC Leaders Forum 2024: 광역자치단체 AICC 도입 실태조사

AI 도입실태 조사결과,
광역자치단체 중, 59%가 미도입, 12%가 계획수립 중,
나머지 29%만이 도입,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AI 새로운 기술이 나올 때마다 컨택센터 산업계는 늘 꿈틀거린다. 그 강도는 오픈AI가 챗GPT 발표 이후 더욱 크게 작용해왔다. 


2020년 6월 당시 오픈(Open)AI가 발표한 초대형 인공지능 기반의 언어 생성 모델 ‘GPT-3’ 공개는 AI 학계와 업계는 물론, 일반인들까지 충격에 빠지게 하기에 충분했다. 특히, GPT-3로 구현한 챗봇과의 대화는 이전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세련됐다.


이러한 변화는 컨택센터 관련 모든 AI 솔루션 시장에 큰 영향을 주었다. 기존 전화중심응대 위주였던 콜 센터에서 나아가 음성 인식, 문장 분석 등의 인공지능(AI) 기술을 적용해 챗봇, 콜봇 등 채널 솔루션과 상담대화록, 자동 상담유형분류, 상담요약 등 상담을 도와 주는 지원 솔루션들이 적극적으로 도입을 검토하거나 실제 도입하는 계기가 되었다.

AI 기술의 변화는 시민의 소리에 늘 귀 기울이고 있는 지자체 콜센터에도 AICC의 도입 필요성을 어필하는 데 긍정적인 소재로 작용하였다. 이러한 시점에 금번 실시된 AICC 도입 실태조사는 “2024 지방자치단체, AICC 리더스 포럼” 세미나에 발맞춰 전국 광역자치단체 17개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사전 질문지를 토대로 전화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실태조사를 실시하게 된 가장 큰 목적은 광역자치단체의 AICC(인공지능컨택센터) 도입현황 조사결과 공유를 통해 AICC를 도입하려는 지자체들에게 다양한 경험적 인사이트를 제공하고, 추후 기초 지방자치단체를 포함한 전국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실시 예정인 본 설문조사 모델을 설계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했다. 

AICC 도입실태 조사결과, 광역자치단체 17개소중, 10개(59%)가 미도입 상태로 

AICC 도입 자체를 검토하고 있지 않거나, 타 지자체들의 도입현황을 모니터링하는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일부 광역자치단체의 경우에는 콜센터로 인입되는 콜량이 적어 AICC를 도입하기에는 효과성이 낮아 도입을 검토하고 있지 않고 있다고 하면서 지자체간 네트워킹을 통해 공동으로 구축하는 기회가 생긴다면 참여하고 싶다는 의견을 냈다. 또한, 광역자치단체 중 12%(2개)는 도입을 계획하고 있었으며, 나머지 29%(5개)만이 AICC를 도입, 확대할 계획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AICC를 도입했거나, 도입을 검토하고 있는 광역자치단체를 대상으로 AICC를 도입하게 된 배경이나 목적, 도입 전략수립 방법, 기 도입한 광역자치단체의 경우에는 기 도입 솔루션 및 향후 추가 도입 예정 솔루션/도입을 검토하고 있는 광역자치단체의 경우에는 도입예정 솔루션, 도입예산(추정), 도입시기, 도입 중 애로사항 등 문항을 중심으로 전화 인터뷰를 실시했다. 

도입 및 확대중 광역자치단체 

■ 도입 배경/목적

먼저, 기 도입한 광역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결과, AICC를 도입한 배경/목적으로는 광역자치단체중 최초로 AI 솔루션(챗봇)을 도입한 지자체의 경우, 2020년 1월부터 시작된 코로나 감염병 발병과 같은 예상치 못한 사회적 이슈 발생으로 인해 호가 갑작스럽게 폭주하더라도 공공기관으로서 안정적인 콜 센터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도입하였다고 하고, 이후로 도입한 지자체들은 상담품질이나 상담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더 나아가 콜센터로 인입되는 시민들의 다양한 목소리에 귀 기울이는 시민 중심의 행정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시민행정 빅데이터 기반을 마련하는데 있다고 한다.


■ AICC  전략 수립 방식, 도입솔루션

AICC를 도입하기 위한 기획은 외부 전문기관의 컨설팅 등 도움을 받기 보다는 지자체 자체적인 검토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으며, 최초 도입한 AI 솔루션으로는 시민들의 상담 접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챗봇 상담 서비스 도입이 이루어졌으며, 향후 도입 예정인 AI 솔루션으로는 최근 음성인식 기술의 발전으로 STT(Speech To Text), TA(Text Analytics) 관련 AI 솔루션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고 답했다.

 

■ AI솔루션 운영조직

AICC 운영에서 콜센터 담당자가 중요하게 챙겨야 하는 것 중 하나가 AI 솔루션 도입 이후에도 지속적인 AI솔루션의 서비스 품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학습자원을 관리하는 것이다. 이를 원활히 수행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AI 전담자 지정이 필요한데, 기존에 도입, 운영하고 있는 지자체의 경우에는 전담인력을 모두 별도로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최근에 도입했거나, AI 학습관리 범위가 작은 AI 솔루션을 운영하고 있는 지자체의 경우에는 현재는 기존 상담업무와 병행하여 관리하고 있으나, 향후 업무량 변화에 따라 전담자를 지정 운영할 예정이라고 답했다.


■ 소요예산

AICC 도입에 필요한 소요 예산은, 구축형(On-premise)으로 도입한 지자체의 경우에는 32억을 편성 구축해 가고 있으며, 도입을 계획하고 있는 지자체의 경우에는 10억원의 예산이 소요될 것으로 추정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구독형(SaaS, Software as a Service)을 도입했거나 도입을 검토하고 있는 지자체의 경우(콜봇)에는 2,200만원이 소요되었거나, 3,000~4,000만원의 개발비용이 투입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 기타 추진 중 애로사항

기타 AICC 도입 과정에서의 애로사항과 향후 AI 솔루션 도입에 따라 예상되는 애로사항으로는 구축과정의 행정절차 어려움, 구축 초기 학습 데이터 확보를 어떻게 하고 도입후 지속적인 유관부서의 유지관리 협조가 잘 이루어질지, 직영형태의 콜센터를 운영하고 있는 지자체들은 AI 솔루션 도입에 따른 감축 공무인력을 어떻게 해결해야 할지?, 그리고 실제 콜봇 도입시 사투리에 대한 기술적 문제는 없을지 등에 대한 걱정이 주를 이루었다.

계획중(미도입) 광역자치단체 

다음은, 아직 AICC를 도입하지는 않았지만 향후 도입계획을 수립하고 있는 광역자치단체들에 대한 조사결과이다. 그들의 AICC 도입 배경/목적은 상담 업무범위가 넓고 깊어서 상담에 어려움이 많은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담 어드바이저 도입을 검토하고 있고, 광역자치단체를 중심으로 시군구를 아우르는 통합 콜센터 구축을 검토하고 있는데 통합 콜센터를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 AI솔루션 도입이 필연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답했다.


AICC 도입기획은 모든 지자체가 직접적인 외부 전문기관의 도움 없이 자체적으로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도입이 우선 필요한 AI 솔루션으로는 상담데이터 수집을 위한 STT와 상담 지식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해 주는 상담 어드바이저를 꼽았다.


AICC 도입기획은 모든 지자체가 직접적인 외부 전문기관의 도움 없이 자체적으로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도입이 우선 필요한 AI 솔루션으로는 상담데이터 수집을 위한 STT와 상담 지식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해 주는 상담 어드바이저를 꼽았다.


AICC 구축예산은 5~10억 정도로 추정하고 있었으며, AICC 도입에 따른 애로사항으로는예산 확보를 어떻게 해야 할지, 직영형태의 콜센터를 운영하고 있는 광역자치단체의 경우에는 AI솔루션 도입으로 잉여 상담 공무인력 발생시 어떻게 해결해야 할지, 그리고 통합 콜센터를 검토하고 있는 광역자치단체는 예산확보 방안과 더불어 관내 지자체간 공동의 공감대를 어떻게 형성해야 할지 등에 대한 걱정을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번 AICC 도입실태 조사결과를 분석하면서 느낀 점은 지방자치단체간 지속적으로 네트워킹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기회가 필요하다는 것과 지방자차단체간 상담범위의 유사성과 지자체 콜센터를 이용하는 관할지역별 도/시/군/구민들의 소통특성 등을 고려하여 효율적이고 성공적인 AICC 도입을 이룰 수 있도록 협회 차원에서의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이 필요함을 느꼈다.



▶  본 콘텐츠는 창작자의 지적 재산으로, 저작권법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  사전 동의 없이 본 콘텐츠의 무단 복제, 수정, 재배포 및 상업적 이용은 금지됩니다.
▶  본 콘텐츠를 인용하거나 활용할 경우, 반드시 출처를 명시하시기 바랍니다.

  • #AICC 
  • #인공지능컨택센터
  • #광역자치단체 
  • #AI기술 
  • #챗봇 
  • #콜봇 
  • #지방자치단체 
  • #고객센터   #상담효율성

관련 아티클


mobile background

Always Closer to

Our everday Lives


우리의 일상에 항상 더 가까이, 무한한 혁신과 성장으로



LB유세스 주식회사

대표이사 : 서 해 융               본사 : (08208) 서울시 구로구 경인로 661, 핀포인트타워 26층               통신판매자번호 : 2009-서울구로-0486

사업자등록번호 : 113-86-17932               서비스 문의 : salesmarketing@lbucess.com


mobile background

Always Closer to
Our everday Lives


우리의 일상에 항상 더 가까이,

무한한 혁신과 성장으로


.대표번호 : 02-3439-7600

LB유세스 주식회사
본사 : 서울시 구로구 경인로 661, 핀포인트타워 26층
대표이사 : 서해융

Copyright ⓒ 엘비유세스 주식회사 All rights reserved.